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년 개정 상법 핵심 분석

개정 상법 주요 내용

개정 상법이 2025년 7월 15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7월 22일 공포되었으며(법률 제20991호), 22대 국회에서 발의된 14건의 상법 개정안을 통합한 대안이다. 이번 개정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확대, ‘3% 룰’ 정비 등 주요 사회적 관심 사안들을 반영하였다.


이사의 충실의무 대폭 확대

개정 상법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였으며, 이사의 직무 수행 시 총주주의 이익을 보호하고 전체 주주의 이익을 공평하게 대우해야 함을 명확히 규정하였다(개정 상법 제382조의3). 기존 상법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로만 정하였지만, 최근 사업 구조 개편 시 소액주주의 지분 가치 훼손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주주에 대한 직접적 충실의무 부여가 필요해졌다.


독립이사 명칭 변경 및 의무 선임 비율 확대

상장회사에 대해서는 ‘사외이사’의 명칭을 ‘독립이사’로 변경하였으며, 의무 선임 비율을 기존 1/4에서 1/3로 확대하였다(개정 상법 제542조의8).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상장회사는 종전과 같이 3인 이상, 이사 총수 과반수 요건을 유지한다.


합산 3% 룰 정비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상장회사의 감사위원 선임·해임 시 최대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합산 3% 룰’을 적용하도록 하였다(개정 상법 제542조의12). 기존에는 사외이사 여부에 따라 3% 룰 적용 방식에 차이가 있었으나, 단순화하여 사외이사 여부와 관계없이 ‘합산 3% 룰’을 적용한다.


전자주주총회 병행 개최 의무화

일정 규모 이상의 상장회사는 주주총회 개최 시 전자주주총회를 병행하여 개최하도록 의무화하였다(개정 상법 제542조의14). 다만 회사 정관에서 달리 정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보험산업과 금융회사에 미치는 영향

보험사를 비롯한 금융회사들은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에 따라 이미 상법보다 강한 규제를 받고 있어 개정 상법이 금융회사 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회사는 사외이사 의무 선임 비율이 더 높거나 유사한 수준이며, 감사위원 선임·해임 시 최대주주의 의결권 행사 제한 규정도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에서 규율되고 있다.


소송 증가 및 경영 판단 위축 우려

이번 개정으로 이사의 주주에 대한 책임이 강화됨에 따라 이사를 상대로 한 소송이 증가하고, 경영 판단의 위축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일부 주주에 의한 남용 소송과 경영 불확실성 증가가 이사의 소극적 경영 행태를 촉진할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회사와 주주 간 이해관계 충돌 시 법적 다툼이 예상된다.


임원배상책임보험 역할 확대 전망

소송 및 손해배상책임 우려 완화를 통한 적극적 경영판단 지원을 위해 임원배상책임보험(D&O 보험)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장 항목과 범위, 특히 소송비용 보장 확대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임대주택 누수 사고 대비,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완벽 가이드

목차 천장에서 떨어진 물방울이 바꾼 인생의 교훈 2020년, 보험 약관의 조용한 혁신 누수 한 방울이 만든 거대한 비용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의 핵심을 짚어보자 가입 방법 가입 조건 주의할 점 보험은 번거로운 지출이 아니다, 안도의 대가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임대인 배상책임보험 마무리하며 [별첨] 대표 보험사 상품 및 비용 정리 천장에서 떨어진 물방울이 바꾼 인생의 교훈 그날은 한 통의 전화로 시작되었습니다. 아래층에 사는 세입자가 다급하게 연락을 해온 것이죠. “천장에서 물이 뚝뚝 떨어져요. 벽지가 다 젖었어요!” 그 순간 머릿속이 하얘졌습니다. 제가 소유한 집에서 누수가 발생해 아래층에 피해를 입혔다는 사실을 깨닫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집은 제 것이었지만, 제가 직접 살고 있는 집은 아니었습니다. 저는 오랜만에 꺼내 본 보험 증권을 손에 쥐었고, 안도의 한숨을 내쉬려던 찰나, 그 작은 글씨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피보험자가 거주하는 경우에 한해 보상.” 순간, 제 보험은 아무 소용이 없다는 현실이 뼈아프게 다가왔습니다. 이처럼 과거의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은 ‘거주 조건’을 전제로 한 보장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다시 말해, 피보험자가 직접 살고 있어야만 누수와 같은 사고에 대한 배상을 받을 수 있었던 겁니다. 임대 중인 집에서 사고가 터진다면? 보험은 단호하게 고개를 저었습니다. 하지만 시대는 변했고, 보험의 약관도 조용히, 그러나 결정적으로 바뀌었습니다. 2020년, 보험 약관의 조용한 혁신 2020년 4월 1일, 우리나라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은 중대한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이전까지는 피보험자가 실제 거주 중인 주택에서 발생한 사고만 보상했지만, 이 시점 이후로 새롭게 체결된 계약은 “거주 여부와 관계없이, 피보험자가 소유한 주택에서 발생한 사...

트럼프 신정부 디지털자산 정책 분석

📑 목차 Ⅰ. 디지털자산시장과 글로벌 금융질서의 대전환 Ⅱ. 디지털자산과 달러 기축통화 전략 1. 달러 패권 유지의 도전 2. 트럼프 신정부의 대응 Ⅲ. FIT21 법안과 규제 명확성 1. 기존 규제의 문제 2. FIT21의 핵심 내용 Ⅳ. 스테이블코인 대 CBDC: 미국의 전략적 선택 1. 글로벌 CBDC 실험 2.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전략 3. 디지털 달러 패권화 Ⅴ. 국내 시사점과 대응 과제 1. 가상자산 제2단계 입법 가속 2. 토큰증권(RWA) 제도화 3. 지급결제 인프라 혁신 Ⅵ. 결론: 책임 있는 혁신을 위한 방향 Ⅰ. 디지털자산시장과 글로벌 금융질서의 대전환 2025년 트럼프 신정부가 출범하면서 미국의 디지털자산 정책은 입법을 통한 규제 명확성 확보 , 그리고 CBDC를 거부하고 스테이블코인 중심의 달러 패권 전략 이라는 뚜렷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국내 정책 차원이 아니라, 글로벌 금융질서를 형성하는 기준으로 작동할 전망이다. Ⅱ. 디지털자산과 달러 기축통화 전략 1. 달러 패권 유지의 도전 브레튼우즈 체제와 페트로달러 체제가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보장했지만, 비트코인·리브라·CBDC의 등장은 달러 없는 글로벌 거래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2. 트럼프 신정부의 대응 CBDC 반대: 개인정보 침해 및 중앙 통제 강화 반대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달러 자산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글로벌 표준 결제 수단으로 확산 비트코인 전략자산화: BITCOIN Act를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