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년 8~9월 K-콘텐츠 캘린더: 한류 문화의 흐름과 주요 이슈

K콘텐츠 캘린더


케이팝 데몬헌터스 OST ‘Golden’: 차트의 새 역사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헌터스’의 OST ‘Golden’은 8월 11일(현지 기준) 미국 빌보드 HOT100에서 K팝 OST 최초 1위에 올랐습니다. 이 곡은 스트리밍 3380만 회, 라디오 1620만 회 등 K팝 그룹 중 이례적인 수치로 정상을 찍고, 이내 알렉스 워런 곡에 잠시 2위를 내줬다가 다시 정상 탈환에 성공해 장기 흥행을 예고했습니다. 더욱 놀라운 건 ‘Golden’이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까지 1위를 차지, 유의미한 신기록을 세웠다는 점입니다. ‘데스티니즈 차일드’ 이후 24년 만에 3인 이상 여성 그룹 곡으로 빌보드 HOT100 정상에 오른 사례이며, OST 부문 최초라는 점에서 K팝의 새로운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트와이스 ‘Takedown’, ‘Strategy’: 기록 재창조의 아이콘

같은 날, 트와이스의 ‘Takedown’(정연, 지효, 채영 유닛)과 ‘Strategy’도 빌보드 HOT100 5주 연속 진입이라는 ‘역주행 신화’로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이 곡들은 미국 스포티파이 차트,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 글로벌 주요 음원 플랫폼에서 동시 역주행을 기록, 케이팝 걸그룹 최초 연속성을 강화하며 거대한 팬덤의 화력을 증명했습니다. 데뷔 10주년의 트와이스는 4집 ‘THIS IS FOR’ 발표, 첫 글로벌 대형 페스티벌 ‘롤라팔루자 시카고’ 헤드라이너 등장, 그리고 일본 정규 6집 ‘ENEMY’ 예고까지, 명실상부한 월드와이드 ‘Top Girl Group’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8월 18일 – 규제의 벽을 허문 드라마 시장

중국 광전총국, 케이콘텐츠의 새로운 기회

이 날 중국 광전총국은 ‘사극 40부작 상한제 폐지’ 등 드라마·예능 콘텐츠의 심사와 회차 제한, 황금시간대 비율 제한 등을 획기적으로 완화했습니다. 2016년 한한령 이래 9년 만에 K콘텐츠의 공식 수입 가능성이 본격적으로 열린 것입니다. 빠른 심사 주기 도입, 검열 간소화, 방영 중 심사 도입 방침까지 반영돼, 앞으로 한류 드라마의 공식 방송 및 OTT 진입에 커다란 기회가 생겼습니다. 실제로 정책 발표 후 K콘텐츠 기업들의 주가가 급등했다는 보도도 있습니다. 물론 정치·외교 영향을 크게 받는 구조적 한계도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8월 18일, 9월 8일 – HYBE 신인 코르티스, 기대와 화제의 중심

코르티스: BTS·TXT ‘동생 그룹’의 영 크리에이터

하이브(빅히트뮤직)가 6년 만에 선보인 신인 보이그룹 ‘코르티스’는 이미 데뷔 전부터 글로벌 음악 시장이 주목했습니다. 멤버 5인 모두 10대로 이뤄진 영 크리에이터 크루로, 멤버 각자가 하이브 내 대표곡(예: TXT, 엔하이픈, 르세라핌, 아일릿 등)의 작사, 작곡, 안무, MV 제작에 참여한 실력파입니다. 8월 18일의 쇼케이스에서 “춤, 노래, 영상 등 우리만의 색을 보여주겠다”는 각오와 함께 싱글 ‘What You Want’로 첫 선을 보였고, 정식 데뷔 앨범 ‘COLOR OUTSIDE THE LINES’는 9월 8일 전 세계 발매를 앞두고 팬덤이 폭발적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8월 22일 – 스트레이키즈의 신기록

스트레이키즈: 초동 300만장, 글로벌 레코드의 주인공

스트레이키즈는 정규 4집 ‘KARMA’로 발매 단 하루 만에 200만 장, 일주일 만에 303만 장을 돌파해 2025년 K팝 앨범 초동 판매 1위라는 금자탑을 쌓았습니다. 타이틀곡 ‘CEREMONY’는 스포티파이 톱 송 데뷔 글로벌 2위·미국 2위 등 주요 국가 차트에서 돌풍을 일으켰고, 수록곡 8곡을 글로벌 톱 10에 동시에 올려놓았습니다. 전 세계 스트리밍, 리테일 앨범 판매, 투어 티켓 등이 기록적으로 판매되며 “K팝 4세대 아이콘”임을 입증했습니다.

8월 27일 – 트와이스 일본 정규 6집 ‘ENEMY’ 출격

“3년 8개월 만의 일본 정규 앨범”이라는 타이틀과 함께, 트와이스는 ‘ENEMY’와 동명 투어를 예고했습니다. 록 밴드 콘셉트를 내세운 티저와 360도 개방 스테이지, 대규모 글로벌 투어까지, 트와이스의 현지 영향력이 여전히 막강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기간 일본 음반 차트와 SNS 팬덤 지수도 폭등하고 있습니다.

9월 1일 – 트레저 미니 3집 ‘LOVE PULSE’ 컴백

트레저가 ‘LOVE PULSE’로 돌아오며, 선주문 100만 돌파부터 레트로 디스코 펑크 타이틀 ‘PARADISE’ 등 새로운 음악적 변신을 시도했습니다. 컴백 기념 팝업스토어, 미디어 쇼케이스, 아시아 투어(10월 KSPO DOME 출발) 등 대대적인 프로모션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8월~9월 – 드라마, 영화 흥행과 신작

영화 ‘좀비딸’: 올 여름 박스오피스의 왕자

‘좀비딸’은 개봉 26일 만에 누적 관객 500만 명, 한국 코미디 영화 오프닝 신기록, 23일 연속 박스오피스 1위 등 전례 없는 흥행 돌풍을 일으켰습니다. 속도 면에서도 2023년 ‘밀수’(17일)에 맞먹는 최단 기록, ‘F1 더 무비’와 ‘미션 임파서블’ 등 헐리우드 대작을 제치고 최고 박스오피스 작품의 위상을 지키고 있습니다.

드라마 신작

2025년 9월 SBS ‘사마귀: 살인자의 외출’, JTBC ‘마이 유스’, ‘백번의 추억’, tvN ‘신사장 프로젝트’가 연달아 출격합니다. 각 채널 대표 IP와 연출진, 화제의 유망 신인까지 투입, 방영 전부터 기대감이 치솟고 있습니다.

이처럼 2025년 8~9월 K-콘텐츠 캘린더는 날짜마다 ‘역사적인 이슈’들이 촘촘히 박혀 있습니다. K팝의 세계 시장 장악, 중국 규제의 변화와 한류 드라마의 꿈, 신·구 걸그룹·보이그룹의 라이벌 구도, 박스오피스 신드롬, 드라마 신작 등 한 편의 잡지처럼 드라마틱하게 문화 트렌드를 써 내려가고 있습니다. 각 타이틀별로, 배경·기록·인물·현장 뒷이야기 등 세부 이슈와 컬러풀한 맥락을 함께 곁들이면 독자들은 완전히 몰입해서 읽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임대주택 누수 사고 대비,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완벽 가이드

목차 천장에서 떨어진 물방울이 바꾼 인생의 교훈 2020년, 보험 약관의 조용한 혁신 누수 한 방울이 만든 거대한 비용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의 핵심을 짚어보자 가입 방법 가입 조건 주의할 점 보험은 번거로운 지출이 아니다, 안도의 대가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임대인 배상책임보험 마무리하며 [별첨] 대표 보험사 상품 및 비용 정리 천장에서 떨어진 물방울이 바꾼 인생의 교훈 그날은 한 통의 전화로 시작되었습니다. 아래층에 사는 세입자가 다급하게 연락을 해온 것이죠. “천장에서 물이 뚝뚝 떨어져요. 벽지가 다 젖었어요!” 그 순간 머릿속이 하얘졌습니다. 제가 소유한 집에서 누수가 발생해 아래층에 피해를 입혔다는 사실을 깨닫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집은 제 것이었지만, 제가 직접 살고 있는 집은 아니었습니다. 저는 오랜만에 꺼내 본 보험 증권을 손에 쥐었고, 안도의 한숨을 내쉬려던 찰나, 그 작은 글씨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피보험자가 거주하는 경우에 한해 보상.” 순간, 제 보험은 아무 소용이 없다는 현실이 뼈아프게 다가왔습니다. 이처럼 과거의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은 ‘거주 조건’을 전제로 한 보장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다시 말해, 피보험자가 직접 살고 있어야만 누수와 같은 사고에 대한 배상을 받을 수 있었던 겁니다. 임대 중인 집에서 사고가 터진다면? 보험은 단호하게 고개를 저었습니다. 하지만 시대는 변했고, 보험의 약관도 조용히, 그러나 결정적으로 바뀌었습니다. 2020년, 보험 약관의 조용한 혁신 2020년 4월 1일, 우리나라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은 중대한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이전까지는 피보험자가 실제 거주 중인 주택에서 발생한 사고만 보상했지만, 이 시점 이후로 새롭게 체결된 계약은 “거주 여부와 관계없이, 피보험자가 소유한 주택에서 발생한 사...

트럼프 신정부 디지털자산 정책 분석

📑 목차 Ⅰ. 디지털자산시장과 글로벌 금융질서의 대전환 Ⅱ. 디지털자산과 달러 기축통화 전략 1. 달러 패권 유지의 도전 2. 트럼프 신정부의 대응 Ⅲ. FIT21 법안과 규제 명확성 1. 기존 규제의 문제 2. FIT21의 핵심 내용 Ⅳ. 스테이블코인 대 CBDC: 미국의 전략적 선택 1. 글로벌 CBDC 실험 2.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전략 3. 디지털 달러 패권화 Ⅴ. 국내 시사점과 대응 과제 1. 가상자산 제2단계 입법 가속 2. 토큰증권(RWA) 제도화 3. 지급결제 인프라 혁신 Ⅵ. 결론: 책임 있는 혁신을 위한 방향 Ⅰ. 디지털자산시장과 글로벌 금융질서의 대전환 2025년 트럼프 신정부가 출범하면서 미국의 디지털자산 정책은 입법을 통한 규제 명확성 확보 , 그리고 CBDC를 거부하고 스테이블코인 중심의 달러 패권 전략 이라는 뚜렷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국내 정책 차원이 아니라, 글로벌 금융질서를 형성하는 기준으로 작동할 전망이다. Ⅱ. 디지털자산과 달러 기축통화 전략 1. 달러 패권 유지의 도전 브레튼우즈 체제와 페트로달러 체제가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보장했지만, 비트코인·리브라·CBDC의 등장은 달러 없는 글로벌 거래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2. 트럼프 신정부의 대응 CBDC 반대: 개인정보 침해 및 중앙 통제 강화 반대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달러 자산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글로벌 표준 결제 수단으로 확산 비트코인 전략자산화: BITCOIN Act를 통해 ...

2025년 개정 상법 핵심 분석

목차 개정 상법 주요 내용 이사의 충실의무 대폭 확대 독립이사 명칭 변경 및 의무 선임 비율 확대 합산 3% 룰 정비 전자주주총회 병행 개최 의무화 보험산업과 금융회사에 미치는 영향 소송 증가 및 경영 판단 위축 우려 임원배상책임보험 역할 확대 전망 개정 상법 주요 내용 개정 상법이 2025년 7월 15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7월 22일 공포되었으며(법률 제20991호), 22대 국회에서 발의된 14건의 상법 개정안을 통합한 대안이다. 이번 개정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확대, ‘3% 룰’ 정비 등 주요 사회적 관심 사안들을 반영하였다. 이사의 충실의무 대폭 확대 개정 상법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였으며, 이사의 직무 수행 시 총주주의 이익을 보호하고 전체 주주의 이익을 공평하게 대우해야 함을 명확히 규정하였다(개정 상법 제382조의3). 기존 상법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로만 정하였지만, 최근 사업 구조 개편 시 소액주주의 지분 가치 훼손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주주에 대한 직접적 충실의무 부여가 필요해졌다. 독립이사 명칭 변경 및 의무 선임 비율 확대 상장회사에 대해서는 ‘사외이사’의 명칭을 ‘독립이사’로 변경하였으며, 의무 선임 비율을 기존 1/4에서 1/3로 확대하였다(개정 상법 제542조의8).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상장회사는 종전과 같이 3인 이상, 이사 총수 과반수 요건을 유지한다. 합산 3% 룰 정비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상장회사의 감사위원 선임·해임 시 최대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합산 3% 룰’을 적용하도록 하였다(개정 상법 제542조의12). 기존에는 사외이사 여부에 따라 3% 룰 적용 방식에 차이가 있었으나, 단순화하여 사외이사 여부와 관계없이 ‘합산 3% 룰’을 적용한다. 전자주주총회 병행 개최 의무화 일정 규모 이상의 상장회사는 주주총회 개최 시 전자주주총회를 병행하여 개최하도...